알뜰폰 개통하기 시리즈 2 – 알뜰폰 개통하는 방법 (100% 경험담)

이번 포스팅에서는 알뜰폰 개통하는 방법을 적어보겠습니다. 제가 해본 방법 중에 제가 느끼기에 가장 편리하고 쉬웠던 방법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 약정 및 중도해지 위약금 확인

처음에 개통하시려면 먼저, 자신의 핸드폰 요금제가 약정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그리고 지금 해지할 경우 위약금은 얼마인지 114(무료)에 전화하셔서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확인해 보신 다음 지금 바꾸는 게 이득일지 계산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 7만 원대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었고 약정이 8개월 이상 남았는데, 위약금이 30만 원대였나 그랬던 것 같아요. 그렇지만 알뜰폰 요금제를 1만 원대 이하로 쓰면 한 달에 6만 원씩 세이브가 되기 때문에 위약금을 내고도 알뜰폰으로 갈아타는 게 이득이어서 바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약정이 1~2달 정도로 얼마 안 남았다면 약정 끝나는 날짜 확인해서, 그날 바로 알뜰폰 개통 신청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알뜰폰 개통 방법

이동통신사 고객센터

휴대폰에 114(무료)로 전화하시거나, 아래 번호로 전화하시면 됩니다.

  • KT: 080-000-1618(무료) / 이용 시간 평일 09:00~18:00 (점심: 12:00 ~ 13:00)
  • SKT: 080-011-6000(무료) / 이용 시간 평일 09:00~18:00
  • LG U+: 080-019-7000(무료) / 이용 시간 평일 09시~18시: 일반상담

 

2. 요금제 비교사이트 들어가기

알뜰폰 회사가 워낙 많기 때문에 이걸 하나씩 다 알아보기 힘듭니다. 한 군데서 요금제를 보고 결정할 수 있게끔 한 사이트가 있는데 그게 바로 ‘모두의 요금제(www.moyoplan.com)’입니다. 예전에는 알뜰폰 허브에서 보곤 했는데 요즘은 모두의 요금제 사이트가 훨씬 편하더라고요.

모요 알뜰폰 비교 사이트

3. 요금제 선택

이제 모두의 요금제에서 원하는 요금제를 선택하면 됩니다. 검색 필터에 원하는 조건들(무제한 통화, 무제한 데이터, 금액대, 원하는 통신망 etc) 등을 넣고 검색하시면 됩니다.

저는 예전에는 프로모션 찾아서 옮겨 다니다가 귀찮아서 그냥 평생 요금제에서 무제한 통화, 무제한 데이터 속도 1 mgbps 이상인 것 중 가격대가 괜찮은 걸 골라서 사용합니다.

알뜰폰 개통 비교 사이트

여기서 동그라미 쳐 있는 것은 월 데이터 소진 시, 얼마큼의 속도로 데이터가 무제한 제공되는지를 의미합니다.

알뜰폰 개통

  • 400Kbps – 2G 속도보다 느림
  • 1Mbps – 카톡, 웹서핑에 문제없는 속도
  • 3Mbps – 유튜브 화질 720p를 보는데 문제없음
  • 5Mbps – 유튜브 화질 1080p를 보는데 문제없음

그래도 1Mbps는 되어야 인터넷하는데 쓸만해서, 무제한 요금 고르실 때 데이터 소진 후 최소 1Mbps 이상 나오는 요금제로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 회원가입 후 개통 신청하기

모두의 요금제를 통해서 개통도 한 번에 하실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요금제를 고르시고, 요금제를 클릭하시면  ‘신청하기’ 버튼이 나옵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우선 모두의 요금(일명 모요)에 회원가입하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저는 ‘카카오로 시작하기’로 가입해서 1분도 안 걸려 가입했습니다.

– 모두의 요금에 회원가입(카카오로 시작하기)

– 원하는 요금제 신청하기 버튼 누르기

5. 개통 신청

가입 방법 선택: 전화상담 or 모요 개통

알뜰폰 개통 방법

저는 늦은 시간에 개통하기 편한 모요 개통으로 골랐습니다. 전화 개통을 통해서 하시는 것이 편하시는 분은 전화 상담을 고르셔도 됩니다.

6. 고객 유형 고르기

일반(만 19세) 이상, 미성년자, 외국인 중 택 1

알뜰폰 개통

7. 명의 선택

내 명의인지, 가족 명의로 개통할 것인지 골라주세요

알뜰폰 개통

8. 약관 동의

약관에 모두 동의해 주세요

알뜰폰 개통

9. 가입 방법

기존에 쓰던 번호 그대로 쓰시고 싶다면 ‘번호 이동’을 선택하시고 새로운 번호로 개통하시려면 ‘신규 가입’을 골라주세요.

10. 유심 배송여부 선택

‘택배로 받을래요’ 선택합니다. 보통 유심이 일치하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 새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신규가입이면 유심비는 무료인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쓰던 유심이 알뜰폰 업체 통신망이랑 일치한다면 ‘가지고 있어요’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기존 유심이 다른 망을 사용하고 있어서  ‘택배로 받을래요’를 선택했습니다.

11. 유심 종류 선택

‘일반 유심’을 고르시거나, 교통카드를 쓰셔야 하는 분이라면 NFC 유심을 고르시면 됩니다.

전 교통카드가 필요 없어서 ‘일반 유심’을 골랐습니다. 보통 일반 유심이 더 싸서 굳이 NFC 기능이 필요 없으시다면 일반 유심 선택하시면 됩니다.

12. 현재 사용하는 휴대폰 번호 입력

쓰고 있는 통신사와 자신의 번호를 입력합니다.

13. 개인정보 입력

모요에서 진행되는 단계를 따라 이름, 주민번호, 유심 받을 집 주소, 신분증 발급 날짜 등을 입력해 줍니다.

14. 본인인증하기

카카오, 네이버, 토스, 신용카드 중에 편한 걸로 인증하시면 됩니다. 저는 카카오가 편해서 카카오 지갑으로 인증 완료했습니다.

15. 해지 확인

중간에 기존에 쓰던 업체에서 번호 이동하겠냐고 확인하는 문자가 날라옵니다. 이때 문자 하단에 있는 링크를 눌러 번호 이동을 확인시켜줍니다. 이걸 눌러도 아직 해지는 아니고 번호 이동하겠다는 의사만 알려주는 것입니다.

동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자가 날라옵니다. 아래 링크를 눌러 번호이동을 확인해주세요.

여기서 주의할 점은 나중에 유심을 받고 새로운 통신사로 개통하면 기존 통신사는 자동으로 해지되기 때문에 굳이 개통 전에 먼저 기존 통신사를 해지 요청을 하진 말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먼저 해지해버리면, 새 유심 올 때까지 전화를 못 하는 불편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신청이 완료되었다는 카톡이 오면 유심을 도착할 때까지 기다리시면 됩니다.

16. 유심 배송

유심을 택배로 받게 되면 2~3일 정도 걸리거나 가끔 더 걸릴 수도 있습니다. 전 퀵으로 받아서 신청하고 1시간 만에 유심을 받았습니다. KT 라이프의 빠른 배송 속도에 너무 놀랐네요.

17. 알뜰폰 개통 요청하기

유심이 도착했다면, 이제 카톡으로 들어가셔서 모두의 요금에서 온 카톡 하단에 ‘개통 요청하기’를 눌러줍니다.

개통 가능 시간은 ‘번호 이동’은 영업일 오전 10시부터 개통할 수 있고, 신규 가입은 8시부터 개통할 수 있습니다.

요금제 정보 확인 -> ‘개통하기’ 누르기

18. 유심 정보 입력

유심 카드 바코드에 적힌 일련번호를 입력합니다.

확인 절차 화면이 나옵니다.

번호 이동 동의 버튼을 눌러줍니다.

19. 알뜰폰 개통 기다리기

개통 완료가 되었다는 문자가 오면 유심을 갈아끼워줍니다. 한 10~20분 정도 걸리는 것 같습니다.

20. 개통완료!

유심은 휴대폰 옆에 작은 구멍에 핀을 넣어 누르면 유심 트레이가 튀어나옵니다. 기존 유심은 빼고, 새로 받은 유심을 넣어 주신 다음 핸드폰 전원을 한번 껐다가 다시 켜시면 완료입니다.

글로 쓰니 길지만, 막상 해보면 쉽습니다. 단계를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모요에서 요금제 선택
  2. 모요에서 개통 신청하기
  3. 유심 받기
  4. 개통하기
  5. 유심 갈아 끼우고 껐다 켜면 끝!

이 과정에서 기존 업체는 알아서 자동 해지되니 따로 해지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

알뜰폰 개통하는 방법 생각보다 너무 쉽지 않나요? 오늘 포스팅이 여러분이 통신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알뜰폰 개통하기 시리즈 1 – 알뜰폰이 뭔가요? 장점과 단점,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