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개통하면 통신비를 줄일 수 있다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하시진 않으셨나요?
저도 알뜰폰 요금제로 바꿔서 한 달에 드는 통신비를 거의 70% 이상 줄일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알뜰폰이 무엇인지, 얼마나 싼지, 개통하는 방법 등에 대해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알뜰폰 요금제란?
‘알뜰폰’이란 별도의 휴대폰 기종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알뜰폰 요금제를 줄여서 ‘알뜰폰’이라고 합니다. 즉, 저렴한 요금제를 말합니다.
사람들은 그동안 휴대폰 대리점에서 핸드폰을 통신사와 2~3년 약정을 걸고 요금제를 선택해 개통해왔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통신사가 3개(SKT, KT, LG U+)밖에 없다 보니 경쟁이 부족해 통신비가 너무 비쌌습니다.
2010년 이명박 정부에서는 국민의 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이동통신 재판매 제도(일명 알뜰폰 요금제)’ 조항을 만들어 기존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네크워크를 빌려 국민들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게끔 제도를 바꾸었습니다. 이때 통신망을 보유한 사업자는 망을 빌리고자 하는 알뜰폰 사업자에게 정해진 도매가로 빌려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제는 휴대폰 매장에서 구입하지 않고, 자급제 휴대폰(공기계)을 구입하거나 자신의 쓰고 있던 핸드폰에 알뜰폰 통신사 요금제를 선택해 유심을 받아 끼워 개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속도가 느리거나 통화 품질이 떨어지진 않는지?
알뜰폰이다 보니 비용이 저렴한 만큼 속도나 통화품질이 떨어지지 않을까 의심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상 통신망 자체가 대기업 통신사 SKT, KT, LG U+의 망을 그대로 빌려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품질은 완전히 같습니다.
다만, 고객센터가 연결이 잘 안되거나 제휴 할인이나 결합 할인이 안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알뜰폰 요금제 금액이 워낙 저렴해서 그런지, 제휴 할인이나 결합할인 비용을 다 빼도 알뜰폰 쓰는 게 훨씬(50%~80% 이상) 저렴합니다.
고객센터는 알뜰폰 업체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2년 이상 여러 업체 사용해 보니 딱히 연결 안 되었던 적이 없고, 전혀 불편함이 없었습니다.
알뜰폰의 장단점
알뜰폰의 장점은 뭐니 뭐니 해도 저렴한 요금입니다. 아무리 비싸도 3만 원대 요금제가 최대치이고 대부분 1만 원대 안팎입니다. 싼 건 0~1,000원대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하나의 큰 장점은 ‘무약정’이라는 점입니다. 언제든 내가 원할 때, 요금제와 통신사를 바꿀 수 있다는 자유로움입니다.
알뜰폰은 프로모션이 많아 4~6개월 동안 0원~2000원대로 사용하다가 할인 끝나자마자 다른 업체로 옮겨가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 엄청나게 저렴한 요금
- 약정이 없음 (언제든 통신사 바꿔도 됨)
- 이동통신 3사와 모든 품질이 동일함
- 해외 로밍 가능
- 본인인증 가능
- 애플 페이, 삼성페이 가능
- 인터넷 결합할인도 됨
단점은 멤버십 할인이나 혜택이 없고 스스로 알아보고 개통을 해야 하는 낯섦 정도입니다. 그리고 프로모션이 기간이 끝나면 다른 알뜰폰 통신사 요금제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그냥 프로모션보다 평생요금제로 적당한 것을 골라 사용하시면 이런 번거로움도 없습니다.
- 멤버십 할인 없음
- 아주 저렴한 것만 이용하려면 자주 새로운 요금제로 갈아타야 함
- 셀프 개통이 처음엔 낯설다
개통방식이 바뀌면 조금 낯설긴 합니다. 하지만 처음 할 때만 몰라서 낯설지, 해보면 알뜰폰이 훨씬 편하고 쉬워요.
하지만 워낙 저렴하고, 개통도 생각보다 집에서 바로 가능하기 때문에 이제는 핸드폰 가게 가서 상담받고 개통하는 것보다 전 오히려 알뜰폰 개통이 빠르고 더 편하더라고요.
알뜰폰 궁금한 점 Q&A
알뜰폰을 개통하기 전 가장 먼저 드는 대표적인 궁금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알뜰폰도 삼성페이, 애플 페이 되나요?
네, 어떤 요금제를 사용하시든 삼성페이나 애플 페이가 되는 기종을 사용하신다면 아무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본인인증되나요?
네, 어느 사이트든 3사와 같은 방법으로 본인인증 가능합니다. - 해외 로밍 되나요?
네, 114를 통해 해외 로밍 서비스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 알뜰폰 요금 실제로 요금제에 적힌 싼 금액으로 나가나요? 추가 금액은 없나요?
네, 실제로 요금제 금액외에 추가로 금액 나가는 것은 없었습니다. 5,000원짜리 요금이라면 딱 5,000원만 나갑니다.
이렇게 정리해 보니 알뜰폰 안 쓸 이유가 없지 않나요? 동일한 품질을 1~3만 원대로 누리실 수 있는데 굳이 비싼 요금제를 쓸 이유가 없으니깐요.
그럼 다음 글에서 어떻게 개통하면 되는지 보시고 따라 하시면 되게끔 경험담을 적어보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알뜰폰 개통하기 시리즈 2 – 알뜰폰 개통하는 방법 (100% 경험담)